티스토리 뷰
미국 내 가톨릭 교회가 노예 매매로 얻은 이익을 통해 확장하고 기관을 유지했다는 사실은 최근에야 공론의 장에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노예 없이 오늘날의 미국 가톨릭 교회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저자 레이첼 스와른스는 단언합니다. 그녀의 새 책 "The 272: The Families Who Were Enslaved and Sold to Build the American Catholic Church"는 1838년 예수회가 272명의 노예를 판매한 사건을 바탕으로, 가톨릭 교회의 노예제 역사를 다루며 이 문제의 현실적 여파를 몇 세대에 걸친 한 가족의 이야기로 전달합니다.
당시 예수회 신부들은 자신들의 재정적 위기를 극복하고 메릴랜드에서 예수회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조지타운 대학(현재의 조지타운 대학교)을 구하기 위한 수단으로 272명의 남녀노소 노예를 매각했습니다. 스와른스는 이 역사적 사실을 세상에 알린 후, 그녀가 쓴 뉴욕 타임즈 기사를 통해 분리되었던 두 가족의 후손이 서로를 찾는 계기가 되었다고 전합니다.
노예 매매와 그 후손들의 이야기는 단순히 역사적 사건을 넘어, 오늘날 우리 사회와 기관이 그 역사와 어떻게 불가분의 연결고리를 맺고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스와른스는 이 역사가 "얼굴 없고 모호한 것이 아니라, 실제 사람들의 이야기"라며 그들의 이름과 우리와의 연결고리를 강조합니다.
이 기사는 1838년 가을, 버지니아주 알렉산드리아에서의 심장을 찢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나이든 이들, 부부, 어린이, 그리고 울부짖는 아기들이 사랑하는 사람들과 익숙한 세상으로부터 멀리 남쪽으로 강제 이송되는 모습이었습니다. 이들은 당시 메릴랜드에서 가장 큰 노예 소유주 중 하나였던 국내에서 가장 저명한 가톨릭 신부들에 의해 소유, 노예화, 판매되었습니다.
노예제와 신앙 사이의 모순된 관계는 신부들과 교회에 의해 정당화되었습니다. 그들은 노예들의 영혼을 구제하는 데 관심이 있었지만, 필요할 때는 그들의 몸을 판매하는 것에 대해선 문제를 삼지 않았습니다. 가톨릭 교회가 노예제를 어떻게 정당화했는지,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사건이 현재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는 우리 모두가 반성하고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해외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톨릭 교회의 끝나지 않는 스캔들, 신부의 추악한 실체... 유명 화가 사제 ‘루프니크’ 성범죄, 사실로 밝혀져 (0) | 2024.05.10 |
---|---|
전 바티칸 감사관 63세로 사망-바티칸 내부의 은폐와 부패, 의료 기록까지 감추다 (0) | 2024.05.10 |
쾰른 대교구에 성학대 피해자에게 30만 유로 배상 판결 (0) | 2024.05.03 |
캐나다 가톨릭 신부, 매니토바 주에서 어린이 성추행 혐의로 체포 (0) | 2024.04.26 |
아일랜드 교육 혁신과 유연성 제한 요소로 가톨릭교회의 통제가 주요인 꼽혀 (0) | 2024.04.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우크라이나
- 추기경
- 가톨릭
- 성범죄
- 바티칸
- 수녀
- WYD
- 기독교
- 해외뉴스
- 가톨릭뉴스
- 개신교
- 가톨릭교회
- 교회
- 대한예수교장로회
- 부정부패
- 교황
- 불법입양
- 세계청년대회
- 교황청
- 레오14세
- 이단
- 미국가톨릭
- 프란치스코교황
- 미투운동
- 목사
- 천주교
- 프란치스코
- 신부
- 종교
- 사이비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