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2017년 미얀마 방문 당시 교황은 로힝야족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고, 인권 침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

2017년에 벌어진 인종청소 사건을 아십니까? 그 당시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문제에 대해 침묵을 선택한 점은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미얀마의 이슬람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은 미얀마 군부와 정부에 의해 오랜 시간 탄압을 받아왔습니다. 로힝야족은 주로 미얀마 라카인 주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미얀마 정부는 이들을 불법 이주민으로 간주하여 시민권을 박탈하고, 정치적·사회적 권리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차별과 배제는 오래 지속되었고, 2017년에 들어 대규모 인권 침해로 이어졌습니다.

2017년 8월, 로힝야 반군이 미얀마 경찰 초소를 공격한 사건을 계기로 미얀마 군부는 로힝야족에 대한 '소탕 작전'을 대대적으로 전개했습니다. 그 결과 수천 명이 목숨을 잃고, 여성과 아이들이 성폭행을 당했으며, 마을들이 불타는 비극적인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유엔과 국제 사회는 이를 '인종 청소'로 규정하고 강력하게 비난했습니다.

미얀마 내에서는 로힝야족이 적대시되어 왔고, 군부는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해왔습니다. 아웅산 수치는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행동의 제약이 있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다릅니다. 교황은 미얀마의 정치적 압력에서 자유로운 위치에 있었고, 국제 사회에서 도덕적 리더십을 발휘할 책임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7년 미얀마 방문 당시 교황은 로힝야족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고, 인권 침해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습니다.

교황의 이러한 침묵은 미얀마의 실권자인 아웅산 수치와의 회담에서도 이어졌습니다. 수치와의 회담에서조차 로힝야족 문제를 거론하지 않자, 인권 단체들은 깊은 실망을 표명하며, 교황이 정치적 이유로 민감한 문제를 피하려 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종교적 지도자로서 그는 강력한 도덕적 입장을 취해야 했지만, 그의 침묵은 오히려 인권 문제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해석되었습니다.

결국, 교황의 이러한 선택은 전 세계 인권 옹호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가 도덕적 리더로서 인권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내야 할 시점에 정치적 실리를 택한 것으로 보였기 때문입니다. 이는 가톨릭 교회의 도덕적 권위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평소 교황이 강조해왔던 인권 보호 메시지와 모순되는 행동으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